이 꽃을 ‘구중궁궐의 꽃’이라 칭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옛날 옛날 복숭아 빛 같은 뺨에 자태가 고운 ‘소화’라는
어여쁜 궁녀가 있었답니다.

임금의 눈에 띄어
하룻밤 사랑으로 빈의 자리에 앉아
궁궐의 어느 곳에 처소가 마련되었으나
어찌된 일인지 임금은 그 이후로 빈의 처소에 한번도
찾아오지를 않았습니다.

빈이 여우같은 심성을 가졌더라면 온갖 방법을 다하여
임금을 불러들였건만 아마 그녀는 그렇지 못했나 봅니다

빈의 자리에 오른 여인네가 어디 한 둘이었겠습니까?

그들의 시샘과 음모로 그녀는 밀리고 밀려 궁궐의 가장 깊은 곳까지
거처를 옮기게 된 빈은 그런 음모를 모르는 채
마냥 임금이 찾아오기만을 기다렸습니다.

혹시나 임금이 자기 처소에 가까이 왔는데 돌아가지는 않았는가 싶어
담장을 서성이며 기다리고,
발자국 소리라도 나지 않을까,
그림자라도 비치지 않을까,
담장을 너머너머 쳐다보며
안타까이 기다림의 세월이 흘러가고 있었습니다.

어느 여름날,
기다림에 지친 이 불행한 여인은 상사병과 영양실조로
세상을 뜨게 되었습니다.

권세를 누렸던 빈이었다면 초상도 거창했겠지만
잊혀진 구중궁궐의 한 여인은 초상조차도 치루어 지지 못하고,

오로지

"담장가에 묻혀 내일이라도 오실 임금님을 기다리겠노라"라고 한
그녀의 유언대로 시녀들에 의해 담장가에 곱게 묻혔습니다.

더운 여름이 시작되고 온갖 새들이 꽃을 찾아 모여드는 때
빈의 처소 담장에는
조금이라도 더 멀리 밖을 보려고 높이 올라가서
작은 발자국 소리를 들으려고 꽃잎을 넓게 벌린 꽃이 피었으니
그것이 능소화입니다.


덩굴로 크는 아름다운 꽃이지요.
아무튼 능소화는 세월이 흐를수록 더 많이 담장을 휘어감고
밖으로 얼굴을 내미는데 그 꽃잎의 모습이 정말 귀를 활짝 열어
놓은 듯 합니다.

한이 많은 탓일까요, 아니면 한 명의 지아비 외에는 만지지 못하게
하려는 의도였을까?

꽃 모습에 반해 꽃을 따서 가지고 놀면
꽃의 충(蟲)이 눈에 들어가 실명을 한다니 조심해야 합니다.

장미는 그 가시가 있어 더욱 아름답듯이

능소화는 독(毒)이 있어
더 만지고 싶은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한여름 오랫동안 눈으로만 감상할 수 있는 꽃입니다.

.

.

.

.

.

<내가 태어나서 살던 집에 이 능수화가 벽돌담을 타고 올라가서

휘드러지게 피었더랬습니다. 집앞을 지나가던 모든이들이 그 수수하고

탐스런 꽃을 보고 감탄하곤 했지요.

능수화에 얽힌 전설을 보니지금은 없어진 고향집과 동네가 생각이 나네요.>

'살며 생각하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사람들 .... 웃음 십계명  (0) 2005.03.28
100점짜리 인생의 조건  (1) 2005.03.09
"오늘의 아침편지-아버지의 기도" 에서.......  (1) 2005.01.17
'언제 한 번....'  (1) 2004.11.23
존재의 이유  (0) 2004.11.17
Posted by blscreen :